아웅사 마르마(Aungshapru Marma·41)는 방글라데시 소수 민족인 줌머(Jumma)인이다. 줌머인은 16세기 무렵부터 방글라데시 남동쪽인 치타공 산악지대에 정착했다. ‘줌머’는 고유의 언어와 문화, 종교를 가지고 있는 11개 민족의 공동체다. 그 가운데 상당수가 불교를 믿는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아웅사는 줌머인 가운데 ‘마르마’ 부족 출신이다.
줌머인의 터전인 치타공 산악지대는 1971년 방글라데시가 독립하면서 그 영토로 편입됐다. 이때부터 줌머인을 향한 탄압도 시작됐다. 줌머인은 고유의 정체성을 버리고 방글라데시 무슬림 다수 민족인 벵골족이 되라고 요구받아왔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치타공 지역에 군대를 동원해 줌머인을 학살하거나 고문하는 등 폭력적 탄압을 일삼았다.
2005년 4월 13일, 벵골인 군인과 경찰이 아웅사가 살고 있던 줌머인의 터전을 무단 탈취한 사건이 일어났다. 랑가마티 지역에 살던 줌머인 10여 가구가 주택과 농가를 잃었다. 터전을 빼앗긴 주민들이 군에 항의했고, 다툼이 격화해 2명의 벵골인과 1명의 줌머인이 사망했다.
이후 아웅사를 비롯해 중앙 정부에 항의했던 줌머인 15명이 기소됐다. 당국에 체포되면 목숨이 위험하다고 판단한 아웅사는 승려로 위장해 고국을 빠져나왔다. 2006년 1월의 일이었다.
16년이 지난 지금도 고향 마을은 안전하지 않다. 아웅사가 한국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경찰은 지난 9월과 10월에도 고국에 남아있는 아웅사 가족의 집에 들이닥쳤다.
밀림과 숲속 마을, 국경을 넘나들며 고국을 탈출한 그는 브로커로부터 여권을 발급받아 인도로 향했다. 일주일간 인도에 머물다 스리랑카로 이동했다. 이후 10년이 넘게 그는 타국에서 생존을 위한 학업을 지속했다. ‘학생 비자’를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탈출한 이후 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안고 지냈지만, 죽을 게 뻔한 고국으로는 돌아갈 수 없었다.
그는 스리랑카 콜롬보 지역에서 1년 반을 머물렀다. 절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팔리 대학에서 불교를 공부했다. 그러나 스리랑카의 문화와 음식이 맞지 않았던 그는 2007년 태국으로 떠나 마하모컷 불교 대학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불교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마하 쭐라롱껀 라자비다라야 대학에서 불교 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석사까지 취득한 이후 더 이상 학생 비자를 연장할 수 없었던 그는 태국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중국, 싱가폴 등 여러 선택지 가운데 어떤 나라로 갈 것인지 수없이 고민했다. 선택한 곳은 한국이었다. 이미 난민으로 정착해 사는 줌머인 연합인 ‘재한줌머인연대’가 한국에 있었다. 한국에 가면, 스리랑카와 태국에서는 느낄 수 없던 소속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아웅사는 여행사를 통해 관광 비자를 받아 한국에 들어왔다. 태국에서 공부하던 시절인 2014년, 대학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을 한 차례 방문한 적이 있었다. 관광 비자를 받는 일은 어렵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