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퍼 티기스트 타디시
에티오피아
내전의 아비규환에서 탈출한 티기스트

암하라(Amhara). 32년간 아스퍼 티기스트 타디시(Asfaw Tigist Tadesse·35)의 정체성을 규정해온 단어다. 암하라는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부족 중 하나다. 80여 개가 넘는 부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는 에티오피아에는 내전이 끊이질 않는다.

현 집권 부족인 오로모(Oromo)족은 암하라 부족과 오랜 기간 적대적 관계였다. 권력을 잡은 후에는 노골적으로 암하라인들을 배척하고 탄압했다.

티기스트와 그 가족도 이들의 횡포를 피해 갈 수 없었다. 티기스트의 남동생은 오로모족을 피해 거주하던 지역을 떠나 다른 곳으로 도망쳤다. 삼촌은 운영하던 가게를 잃었고 티기스트는 살고 있던 집을 잃었다.

늦은 밤, 일을 마치고 퇴근하던 어느 날이었다. 티기스트는 기차에서 내려 집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다. 어두컴컴한 길을 걷는데 한 무리의 남성들이 다가왔다. 오로모 언어를 쓰던 그들은 티기스트에게 신분증을 보여 달라고 요구했다. 에티오피아 신분증에는 출신 부족이 적혀있다. 남성들은 신분증에 적힌 ‘암하라’를 확인하자 티기스트를 구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강간했다.

이후 티기스트는 밤늦게 퇴근하는 날마다 불안에 떨었다. 경찰에 신고할 수도 없었다. 사방에 오로모 사람들이 있었다. 가족에게 피해 사실을 말하기도 꺼려졌다. 오직 큰언니에게만 사실을 털어놓았다. 그리고 최대한 빨리 그 일을 기억에서 지우려 했다.

티기스트는 2019년 7월 처음 한국에 왔다. 당시 근무하던 굴착기 제조회사에서 기술교육을 위해 한국으로 출장을 보냈다. 일주일간의 업무를 마치고 에티오피아로 돌아가기로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티기스트는 이미 다른 계획을 세워두고 있었다. 출장이 끝나도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지 않을 생각이었다. 더는 특정 부족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공포에 떨며 살고 싶지 않았다.

에티오피아를 떠나올 때 짐은 최대한 간소하게 챙겼다. 한국에 머물려는 계획을 들키지 않기 위해서였다. 성경과 전통의상, 그리고 평상복 몇 벌만 들고 왔다. 티기스트는 에티오피아를 떠나야 한다는 생각에 쫓겨 구체적인 계획도 없이 한국에 왔다. 여동생을 제외한 그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한국에 온 첫날의 기억 가운데 가장 또렷한 것은 덥고 습한 날씨였다. 에티오피아는 한국처럼 사계절이 뚜렷하지 않다. 짧은 우기를 제외하면 대체로 온난한 날씨가 지속된다. 티기스트가 평생 잊지 못할 장면이 하나 더 있다. 숙소에서 내려다보이던 서울의 야경이다. 가족과 집, 모든 것을 버리고 도착한 도시가 반짝이고 있었다. 이 도시에서 하루빨리 정착해 안정을 찾아야 한다고 티기스트는 생각했다.

출장 일정이 끝나자, 티기스트는 난민 지원 단체인 ‘피난처’를 찾아갔다. 그들의 도움을 받아, 체류 만료 기간을 며칠 남겨둔 2020년 7월, 난민인정 신청을 했다.

에티오피아
Addis Ababa
한국
Incheon
비자

난민인정 신청 후 1년 8개월이 지난 올해 3월이 되어서야 인터뷰를 받았다. 심사 인터뷰는 상처만 남겼다. 범죄자를 심문하는 자리에 가까웠다. 인터뷰에서 제공되는 통역 지원은 도움이 되기는커녕 수치심만 더했다.

난민 심사관은 티기스트에게 강간당한 사실을 설명해 보라고 말했다.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배려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게다가 인터뷰를 돕는 에티오피아 통역사는 티기스트의 집을 빼앗고 고국을 떠나게 만든 바로 그 부족 출신 남성이었다.

“남성 통역사에게 제 강간 사실을 설명하기는 싫었어요. 그 상황이 너무 불편했지만, 여성 통역사가 없으니 다른 선택권이 없었죠.”

괴로웠던 심사 끝에 티기스트가 받아든 결과는 ‘난민 불인정’이었다. 바늘구멍 같은 한국의 난민 인정률에 대해서는 이미 수없이 들어온 터라 기대가 크지는 않았다. 그러나 난민 인정을 거절당한 이유는 충격적이었다.

“난민 인정을 거절당한 이유 중 하나는 내가 강간을 당했던 일이 단 한 번뿐이었다는 거였어요. 제가 두 번, 세 번 반복해서 강간당하기를 바라는 건가요? 난민 심사 과정에서 이런 말을 들을 거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어요.”

티기스트는 G-1-5 비자를 받았다. 안정적인 난민 지위를 바라지만, 난민 심사를 재신청하기는 두렵다. 심사를 다시 받는 과정에서 자신을 강간한 부족 출신에게 그 피해를 설명하는 일을 또 겪고 싶지는 않다.

한국
티기스트는 난민 신청 후 넉 달 동안 월 40만 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았다. 그 돈으로는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돈을 벌고 싶어도 난민 신청 이후 6개월 동안 취업이 금지됐다. 결국 난민지원단체인 ‘피난처’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한국 체류 6개월 만에 처음으로 구한 일은 피자가게 직원이었다. 하지만 오래 일하지는 못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근무 시간이 점점 줄어들어 그만둬야 했다. 이후 김치 공장, 가구 공장, 봉제 공장을 거쳤지만 익숙지 않은 육체노동을 오래 이어가기는 쉽지 않았다.

티기스트는 한국에서 고국 출신의 남편을 만났다. 그리고 지난해 10월 남편을 쏙 빼닮은 딸을 출산했다. 약 6년째 한국에 살고 있는 티기스트의 남편도 난민 지위를 인정받지 못했다. 심지어 3년 전에는 비자 연장을 받을 이유가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외국인 등록증을 압수당하기도 했다. 한국에서 강제 퇴거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3개월마다 체류허가를 받아야 한다.

육체노동 외에는 일자리를 구할 수 없는 티기스트는 취업조차 할 수 없는 남편을 건사해야 한다. 이들의 불안정한 지위는 딸에게도 이어졌다. G-1 비자를 가지고 있는 딸은 아직 여권도 만들지 못했다.

티기스트 부부는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다. 불안한 한국 생활 가운데 종교 생활만이 안정을 준다. 매일 아침을 명상으로 시작하고, 일요일이면 함께 교회에 간다. 직접 원두를 볶아 내린 커피와 에티오피아 음악은 낯선 타국에서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 에티오피아인들은 춤과 음악을 사랑한다. 고국에서는 매주 온 가족이 모여 춤을 추곤 했다. 그 따뜻함과 유쾌함이 티기스트는 무척 그립다.

팩트체크
난민 지원에 많은 국가 예산이 쓰인다? ‘거짓’

공익법센터 ‘어필’의 이일 변호사는 “한국의 난민 지원 예산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2022년 기준 난민 관련 예산은 35억 6,200만 원으로, 정부 총예산 607조 7,000억 원의 0.0006%에 그친다. 그마저도 예산의 절반 이상은 난민 심사에 필요한 통역비나 출장비, 조사관 활동비 등 행정비용으로 쓰인다.

난민 지원 예산 가운데 난민 또는 난민신청자를 직접 지원하는 돈은 매우 부족하다. 난민신청자는 난민법에 따라 최대 6개월간 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난민신청자는 생계비 지원 제도가 있다는 걸 모르거나 신청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2020년에는 국내 난민신청자 6,684명 중 265명, 2021년에는 2,341명 중 43명만 생계비를 받았다.

생계비를 지원받는다 해도 지원액이 1인 가구 기준 월 40만 원 정도에 불과하다. 지원 기간도 평균 3개월에 그친다. 그런데 법무부는 난민 신청일로부터 6개월간 난민신청자의 취업을 금지하고 있다. 6개월 동안 스스로 돈을 벌 수도, 충분한 지원을 받을 수도 없으니, 난민 신청자들은 말 그대로 극빈의 상황에 내몰린다. 6개월을 버틴다 해도, 길게는 몇 년에 걸쳐 진행되는 난민 심사가 끝날 때까지 스스로 생계를 해결해야 한다.

다른 난민의 삶을 클릭해보세요
지도를 클릭해 보세요
미얀마 에티오피아 방글라데시 이집트 시리아 예멘
수 민 우
군부 독재를 더는 참을 수 없었다. 시위 현장에 뛰어들었다. 교사라는 직업을 잃어도 좋다는 결심이었다. 탄압은 거세졌고, 수는 어린 딸의 위험이 걱정돼 미얀마를 떠났다.
사진
아스퍼 티기스트 타디시
부족 간 분쟁은 삶의 터전을 빼앗아 갔다. 집권 부족이 휘두르는 폭력에 몸과 마음을 다쳤다.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 곳에서 살고 싶어 에티오피아를 떠났다.
사진
아웅사프루 마르마
방글라데시 정부는 오랫동안 줌머인을 탄압했다. 줌머인인 아웅사는 민족을 지키기 위해 저항하다 기소당했다. 이후 정글과 숲속을 전전하다, 방글라데시를 떠났다.
사진
하산 무스타파
이집트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다 10년의 금고형을 받았다. 민주주의를 찾아 한국까지 왔다. 이집트를 떠나온 지 5년이 됐지만, 아직 난민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사진
하산 아흐메드 바탈
2011년 평화로운 고향 알레포에 총성이 울렸다. 19세 소년 하산에게도 징집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 하산은 차마 자신의 지인을 향해 총을 들 수 없었다. 결국 시리아를 떠나기로 결심했다. 여러 차례 죽음의 문턱을 넘어 가까스로 한국에 왔다.
사진
알파란 이스마일 모하메드 알리
대학 졸업을 앞두고 인도에 유학을 갔다. 유학 중 예멘의 내전이 심화됐다. 고국에 돌아가면 징집되어 내전에 휘말릴 것이 분명했다. 예멘 사람을 받아주는 나라를 찾아 세계를 떠돌고 있다. 마지막 희망을 한국에 걸고 있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