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수 민 우(Su Myint Oo·38)는 미얀마의 항구 도시 탄린에서 태어났다. 강 건너편에는 미얀마 최대 도시인 양곤이 있다. 고등학생 때 양곤으로 간 수는 사회와 영어를 가르치는 사립중학교 선생님이 됐다. 수는 학생들을 사랑했다. 무엇보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좋아했다.
2020년, 미얀마 국민의 자유 투표로 민족민주동행회(NLD)가 선거에서 승리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이듬해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군부는 자유 선거에 의해 선출된 윈 민 대통령과 아웅산 수찌 국가 고문을 가택 연금했다.
수의 평화롭던 일상도 빠르게 무너졌다. 미얀마에서 교사의 정치적 언행은 금지된다. 그러나 수는 견딜 수 없었다. 수는 “사립학교 교사지만 군사독재자의 밑에서 교육하는 일을 하고 싶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얀마 국민은 감금돼있는 지도자들을 석방하라는 평화 시위를 열었다. 수도 가담했다. 처음엔 망설였다. 수의 아버지는 만류했다. “하나뿐인 4살짜리 어린 딸을 두고 나가면 어떡하느냐”고 붙잡았다. 그러나 며칠 지나지 않아 수는 죄책감을 느꼈다. 시위 시작 일주일 만에 수는 거리에 나섰다.
평화 시위였음에도 군부는 잔인하게 억압했다. 이에 대항해 시민불복종운동이 시작됐다. 2021년 4월 미얀마 민주 진영의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가 구성됐고, 무장조직인 시민방위군도 결성됐다. 군부는 시민불복종운동에 가담한 마을을 불태우고, 시민방위군을 잡아 살해했다. 학교와 아이들까지 무차별 공격의 대상이 됐다.
언제든 잡혀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수를 괴롭혔다. 무엇보다 딸의 안전이 걱정됐다. 시위에 참여한 사람들은 체포되어 죽거나 연락이 끊겼다. 제자였던 19살 학생은 시민방위군에 가담했다가 사망했다. 같이 시위했던 친구는 체포돼 소식이 끊겼다.
군부가 시위대를 향해 실탄 사격을 시작하자, 수는 시내로 나갈 수 없었다. 그래도 집 근처 길에서 시위를 이어갔다. 동네에 살던 누군가가 시위하는 수의 모습을 목격했다. 그가 수를 군부 측에 신고했다. 체포의 위협이 현실로 다가왔다.
수의 ‘이주’가 시작됐다. 위협을 느낀 수는 양곤에서 차로 2시간 거리에 떨어진 포 바(Pho Ba)라고 불리는 작은 마을 바닷가로 떠났다. 양곤으로 다시 가면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었다. 그렇다고 바닷가 마을에서 무작정 숨어있을 수도 없었다.
수는 5살 딸을 데리고 한국으로 피신하기로 결심했다. 한국에는 몇 년 전부터 돈을 버는 남편이 있었다. 수가 생각하기에 한국은 아름다운 나라이자 인권을 무엇보다 소중히 여기는 나라였다.
집을 떠나 공항으로 향하던 지난 4월 26일을 떠올리면 수의 가슴은 지금도 서늘해진다. 공항까지 가는 길에 군인들에게 두 차례 검문당했다. 다리 위에서 처음 검문당했다. 군인들은 시민방위군을 후원하러 가는 거냐고 캐물었다. “한국에 있는 남편을 보러 가려는 것”이라고 수는 답했다. 공항 앞에서 두 번째 검문을 받았다. 군인들은 공항에 들어가는 모든 차를 멈춰 세워 어딜 가는 거냐고 물었다.
비행기에서 내려 인천공항출입국·외국인청을 찾았다. 그날은 시간이 늦어 공항에 있는 쉼터에 머물러야 했다. 다음 날 아침, 담당자가 왔고 코로나 검진을 받았다. 딸에게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 코로나 치료센터에 7일 머물렀고 다시 공항으로 갔다. 조사는 며칠 동안 계속됐다. 한국에 도착한 지 열흘이 지난 5월 10일, 석 달의 체류 자격을 받았다.
남편의 집이 있는 인천으로 향했다. 남편은 9년 전인 2013년 돈을 벌러 한국에 왔다. 페인트칠을 해서 번 돈을 미얀마의 가족에게 보냈다. 오랫동안 고생한 남편은 지난 4월 미얀마에 돌아올 계획이었다. 하지만 군부 쿠데타가 상황을 뒤바꿨다. 미얀마로 돌아가려던 남편은 한국에 남았고, 오히려 아내인 수가 한국으로 피신하게 됐다.